장사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우노 다카시의 ‘장사의 신’이라는 책은 한 번 쯤 들어 봤을 것이다. 빨간색 책 표지와 ‘신’이라는 한자가 주는 강렬함에 선뜻 책을 읽을 용기를 내지 못했었지만, 유튜버 자청의 추천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.
그러나 막상 책을 펼치자 예상과는 다르게 너무나도 술술 읽혔다. 장사라는 것은 대학교 때 2년 정도 아르바이트를 해 본것이 다인 나도 너무나 쉽게 읽을 수 있는 ‘친절한’ 책이었던 것이다. 게다가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구어체로 쓰여있어서, 동네 식당 아저씨가 자기 인생 이야기를 해 주는 것 같은 친근함마저 느꼈다.
본인이 알고 있는 것을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게 설명하는 사람은 정말로 그 분야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.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이유는 본인도 스스로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잘 모른다는 반증이라고.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의 저자는 요식업, 특히 이자카야에 대해 정말 잘 알고 있는 사람처럼 느껴졌다.
특히 와 닿았던 점은 ‘어떻게 하면 손님을 즐겁게 해 줄 수 있을지 궁리하는 것이 가장 핵심’이라는 것이다. 이것은 ‘어떻게 하면 돈이 되는 사업이 될까, 나는 이 사업을 통해 얼마의 이윤을 가지고 갈 수 있고, 나는 이것으로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을까?’ 등과 같은 ‘나’ 중심의 생각만 하던 나에게 굉장히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.
‘어떤 가게를 해야 내가 진심으로 즐거울 수 있을까?’를 생각하라고. 그것이 오랫동안 장사를 해나갈 수 있는 기본이라 생각해.
- <장사의 신> (우노 다카시 지음, 김문정 옮김) 중에서
그리고 책을 읽으며 점점 확신할 수 있었던 사실은 이 책의 내용이 비단 요식업, 특히 이자카야를 하는 사람들에게만 적용되는 점이 아니라는 것이다. 한 분야에서 성공하고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즐겁게 해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.
얼마 전 TV를 보다가 마켓컬리의 김슬아 대표가 인터뷰를 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. 그는 의사결정이 막힐 때마다 ‘내일 아침에 이 내용이 신문에 나도 나는 떳떳할 수 있는가?’를 한 번 더 고민한다고 했다.
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, 한 기업의 대표가 된다는 것. 규모가 크던 작던 관계 없이 고객들을 생각하고 그들을 즐겁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생각하는 것. 그리고 그 속에서 진정한 재미를 찾는 것. 복잡한 재무제표가 아니라 내가 하는 일에 긍지를 가지고 최선을 다하는 것이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모름지기 가져야 할 태도임을 배우게 한 소중한 책이었다.